Python 공부/코딩 테스트 연습
[프로그래머스 / 코딩테스트] 2022 카카오 인턴십 - 성격 유형 검사 하기
KimDove
2022. 10. 31. 23:36
728x90
1. 문제 설명
- 나만의 카카오 성격 유형 검사지를 만들려고 합니다.
- 성격 유형 검사는 다음과 같은 4개 지표로 성격 유형을 구분합니다.
- 성격은 각 지표에서 두 유형 중 하나로 결정됩니다.
지표 번호 | 성격 유형 |
1번 지표 | 라이언형(R), 튜브형(T) |
2번 지표 | 콘형(C), 프로도형(F) |
3번 지표 | 제이지형(J), 무지형(M) |
4번 지표 | 어피치형(A), 네오형(N) |
- 4개의 지표가 있으므로 성격 유형은 총 16(=2 x 2 x 2 x 2)가지가 나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RFMN"이나 "TCMA"와 같은 성격 유형이 있습니다. - 검사지에는 총 n개의 질문이 있고, 각 질문에는 아래와 같은 7개의 선택지가 있습니다.
- 매우 비동의
- 비동의
- 약간 비동의
- 모르겠음
- 약간 동의
- 동의
- 매우 동의
- 각 질문은 1가지 지표로 성격 유형 점수를 판단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한 질문에서 4번 지표로 아래 표처럼 점수를 매길 수 있습니다.
선택지 | 성격 유형 점수 |
매우 비동의 | 네오형 3점 |
비동의 | 네오형 2점 |
약간 비동의 | 네오형 1점 |
모르겠음 | 어떤 성격 유형도 점수를 얻지 않습니다 |
약간 동의 | 어피치형 1점 |
동의 | 어피치형 2점 |
매우 동의 | 어피치형 3점 |
- 이때 검사자가 질문에서 약간 동의 선택지를 선택할 경우 어피치형(A) 성격 유형 1점을 받게 됩니다.
만약 검사자가 매우 비동의 선택지를 선택할 경우 네오형(N) 성격 유형 3점을 받게 됩니다. - 위 예시처럼 네오형이 비동의, 어피치형이 동의인 경우만 주어지지 않고,
질문에 따라 네오형이 동의, 어피치형이 비동의인 경우도 주어질 수 있습니다. - 각 선택지는 고정적인 크기의 점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 매우 동의나 매우 비동의 선택지를 선택하면 3점을 얻습니다.
- 동의나 비동의 선택지를 선택하면 2점을 얻습니다.
- 약간 동의나 약간 비동의 선택지를 선택하면 1점을 얻습니다.
- 모르겠음 선택지를 선택하면 점수를 얻지 않습니다.
- 검사 결과는 모든 질문의 성격 유형 점수를 더하여 각 지표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은 성격 유형이
검사자의 성격 유형이라고 판단합니다. - 단, 하나의 지표에서 각 성격 유형 점수가 같으면, 두 성격 유형 중 사전 순으로 빠른 성격 유형을
검사자의 성격 유형이라고 판단합니다. - 질문마다 판단하는 지표를 담은 1차원 문자열 배열 survey와
검사자가 각 질문마다 선택한 선택지를 담은 1차원 정수 배열 choic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 이때, 검사자의 성격 유형 검사 결과를 지표 번호 순서대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2. 제한 사항
- 1 ≤ survey의 길이 ( = n) ≤ 1,000
- survey의 원소는 "RT", "TR", "FC", "CF", "MJ", "JM", "AN", "NA" 중 하나입니다.
- survey[i]의 첫 번째 캐릭터는 i+1번 질문의 비동의 관련 선택지를 선택하면 받는 성격 유형을 의미합니다.
- survey[i]의 두 번째 캐릭터는 i+1번 질문의 동의 관련 선택지를 선택하면 받는 성격 유형을 의미합니다.
- choices의 길이 = survey의 길이
- choices[i]는 검사자가 선택한 i+1번째 질문의 선택지를 의미합니다.
- 1 ≤ choices의 원소 ≤ 7
Choices | 뜻 |
1 | 매우 비동의 |
2 | 비동의 |
3 | 약간 비동의 |
4 | 모르겠음 |
5 | 약간 동의 |
6 | 동의 |
7 | 매우 동의 |
3. 입출력 예
Survey | Choices | Result |
["AN", "CF", "MJ", "RT", "NA"] | [5, 3, 2, 7, 5] | "TCMA" |
["TR", "RT", "TR"] | [7, 1, 3] | "RCJA" |
4. 아이디어 얻어보기
4-1.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인 유심히 봐야할 부분
- 일단 Survey에서의 원소들이 같은 값이라도 동일하게 정렬되어 있지 않아 통일해줘야 했다.
e.g.) 'TR', 'RT' -> 'RT', 'AN', 'NA' -> 'AN' - 유형 점수가 같으면 사전 순으로 빠른 성격 유형을 성격유형으로 판단한다.
4-2. 어떻게 구현해 볼까
- 각 성격 유형별 점수를 저장한 딕셔너리를 생성
- 입력 값을 key 값으로 하고, value 값은 각 성격 유형별로 점수를 0으로 초기화한 딕셔너리로 넣었다.
answer = ''
## 각 성격 유형별 점수를 저장항 딕셔너리 생성
scores = {
'RT' : {'R' : 0, 'T' : 0},
'CF' : {'C' : 0, 'F' : 0},
'MJ' : {'M' : 0, 'J' : 0},
'AN' : {'A' : 0, 'N' : 0}
}
- 길이가 같은 두 리스트 (survey, choices)를 zip을 이용해 두 리스트에서 원소를 하나씩 꺼낸다.
- c == 4 즉, 아무것도 모르겠음을 선택한 경우에 continue로 넘김
- survey의 원소가 scores의 key 값으로 있는 경우에는 그대로, 없는 경우에는 뒤집어준다.
- e.g.) TR → RT, FC → CF, JM → MJ, NA → AN
- 점수가 4점 보다 작은 경우 앞에 있는 유형에 점수 부여, 4점 보다 큰 경우에는 뒤에 있는 유형에 점수 부여
for s, c in zip(survey, choices):
if c == 4: continue
key = s if s in scores.keys() else s[::-1]
s = s[0] if c < 4 else s[1]
c = 4 - c if c < 4 else c - 4
scores[key][s] += c
⚠️zip() 함수는 길이가 동일한 iterator에서 사용하고, 다른경우에는 itertools의 zip_logest()를 사용한다.
zoo = ['dove', 'pigeon', 'dove', 'dove', 'penguin', 'hippo', 'tiger', 'dog']
zoo2 = ['apple', 'acorn', 'seed', 'grape', 'banana', 'tomato', 'pear', 'orange']
zoo3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for idx, (z, z2) in enumerate(zip(zoo, zoo2), 1): print(f'[{idx}] {z} | {z2}')
for idx, (z, z3) in enumerate(zip(zoo, zoo3), 1): print(f'[{idx}] {z} | {z3}')
## 출력 결과
[1] dove | apple
[2] pigeon | acorn
[3] dove | seed
[4] dove | grape
[5] penguin | banana
[6] hippo | tomato
[7] tiger | pear
[8] dog | orange
#! 길이가 다른 경우에는 길이가 짧은 리스트를 기준으로
#! 길이가 긴 리스트의 데이터가 누락된다.
[1] dove | 1
[2] pigeon | 2
[3] dove | 3
[4] dove | 4
[5] penguin | 5
[6] hippo | 6
[7] tiger | 7
[8] dog | 8
#? len(zoo) -> 8, len(zoo3) -> 15
- itertools의 zip_longest() 함수를 이용하면 길이가 긴 리스트를 기준으로 데이터가 엮인다.
- 길이가 짧은 리스트는 기본적으로 모자란만큼 None으로 들어가지만, fillvalue 인자값을 통해 지정해 줄 수 있다.
from itertools import zip_longest
for idx, (z, z3) in enumerate(zip_longest(zoo, zoo3), 1): print(f'[{idx}] {z} | {z3}')
for idx, (z, z3) in enumerate(zip_longest(zoo, zoo3, fillvalue = 'lion'), 1): print(f'[{idx}] {z} | {z3}')
## 출력 결과
## 기본적으로는 길이가 짧은 리스트는 모자란 만큼 None이 들어간다.
[1] dove | 1
[2] pigeon | 2
[3] dove | 3
[4] dove | 4
[5] penguin | 5
[6] hippo | 6
[7] tiger | 7
[8] dog | 8
[9] None | 9
[10] None | 10
[11] None | 11
[12] None | 12
[13] None | 13
[14] None | 14
[15] None | 15
#! fillvalue 인자값으로 'lion'을 넣어준 경우
[1] dove | 1
[2] pigeon | 2
[3] dove | 3
[4] dove | 4
[5] penguin | 5
[6] hippo | 6
[7] tiger | 7
[8] dog | 8
[9] lion | 9
[10] lion | 10
[11] lion | 11
[12] lion | 12
[13] lion | 13
[14] lion | 14
[15] lion | 15
- 각 성격 유형별 value값을 사전 오름차순으로 알파벳을 정렬 후, 둘 중 더 큰 원소값을 가져와 정답 문자열에 더해준다.
for key, value in scores.items():
v = dict(sorted(value.items()))
index = list(v.values()).index(max(v.values()))
answer += sorted(key)[index]
return answer
5. 문제를 풀어봅시다.
def solution(survey, choices):
## 각 성격 유형별 점수를 저장항 딕셔너리 생성
scores = {
'RT' : {'R' : 0, 'T' : 0},
'CF' : {'C' : 0, 'F' : 0},
'MJ' : {'M' : 0, 'J' : 0},
'AN' : {'A' : 0, 'N' : 0}
}
answer = ''
for s, c in zip(survey, choices):
## 선택이 4번 즉, 모르겠음을 선택했을 경우에
## 어떤 유형에도 점수를 주지 않고, 넘김
if c == 4: continue
## 성격 유형이 내림차순으로 정렬되어 있는 경우 오름차순으로 정렬
## e.g.) 'TR' -> 'RT', 'NA', 'AN', ...
key = s if s in scores.keys() else s[::-1]
## 점수가 4점보다 낮은 경우 앞에 있는 성격 유형에,
## 4점보다 높은 경우에 뒤에 있는 성격 유형에 점수 부여
s = s[0] if c < 4 else s[1]
c = 4 - c if c < 4 else c - 4
scores[key][s] += c
for key, value in scores.items():
## 성격 유형 정렬
v = dict(sorted(value.items()))
## 점수가 더 높은 원소의 인덱스를 구하는 과정
index = list(v.values()).index(max(v.values()))
## 점수가 더 높은 성격 유형을 빈 문자열에 추가
answer += sorted(key)[index]
return answer
sol1 = solution(['AN', 'CF', 'MJ', 'RT', 'NA'], [5,3, 2, 7, 5])
sol2 = solution(['TR', 'RT', 'TR'], [7, 1, 3])
print(f'solution 1 : {sol1}')
print(f'solution 2 : {sol2}')
## 출력 결과
solution 1 : TCMA
solution 2 : RCJA
99. 자료 출처
99-1. 문제 출처
- 프로그래머스 - 2022 KAKAO TECH INTERNSHIP 성격 유형 검사하기 | [문제 출처]
전체코드
내용 추가 이력
부탁 말씀
개인적으로 공부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오류가 있는 부분은 댓글로 정정 부탁드립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