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둘기 둥지

[프로그래머스 / 코딩테스트] 2022 카카오 인턴십 - 성격 유형 검사 하기 본문

Python 공부/코딩 테스트 연습

[프로그래머스 / 코딩테스트] 2022 카카오 인턴십 - 성격 유형 검사 하기

KimDove 2022. 10. 31. 23:36
728x90

1. 문제 설명

  • 나만의 카카오 성격 유형 검사지를 만들려고 합니다.
  • 성격 유형 검사는 다음과 같은 4개 지표로 성격 유형을 구분합니다.
  • 성격은 각 지표에서 두 유형 중 하나로 결정됩니다.
지표 번호 성격 유형
1번 지표 라이언형(R), 튜브형(T)
2번 지표 콘형(C), 프로도형(F)
3번 지표 제이지형(J), 무지형(M)
4번 지표 어피치형(A), 네오형(N)
  • 4개의 지표가 있으므로 성격 유형은 총 16(=2 x 2 x 2 x 2)가지가 나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RFMN"이나 "TCMA"와 같은 성격 유형이 있습니다.
  • 검사지에는 총 n개의 질문이 있고, 각 질문에는 아래와 같은 7개의 선택지가 있습니다.
    • 매우 비동의
    • 비동의
    • 약간 비동의
    • 모르겠음
    • 약간 동의
    • 동의
    • 매우 동의
  • 각 질문은 1가지 지표로 성격 유형 점수를 판단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한 질문에서 4번 지표로 아래 표처럼 점수를 매길 수 있습니다.
선택지 성격 유형 점수
매우 비동의 네오형 3점
비동의 네오형 2점
약간 비동의 네오형 1점
모르겠음 어떤 성격 유형도 점수를 얻지 않습니다
약간 동의 어피치형 1점
동의 어피치형 2점
매우 동의 어피치형 3점
  • 이때 검사자가 질문에서 약간 동의 선택지를 선택할 경우 어피치형(A) 성격 유형 1점을 받게 됩니다.
    만약 검사자가 매우 비동의 선택지를 선택할 경우 네오형(N) 성격 유형 3점을 받게 됩니다.
  • 위 예시처럼 네오형이 비동의, 어피치형이 동의인 경우만 주어지지 않고,
    질문에 따라 네오형이 동의, 어피치형이 비동의인 경우도 주어질 수 있습니다.
  • 각 선택지는 고정적인 크기의 점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 매우 동의나 매우 비동의 선택지를 선택하면 3점을 얻습니다.
    • 동의나 비동의 선택지를 선택하면 2점을 얻습니다.
    • 약간 동의나 약간 비동의 선택지를 선택하면 1점을 얻습니다.
    • 모르겠음 선택지를 선택하면 점수를 얻지 않습니다.
  • 검사 결과는 모든 질문의 성격 유형 점수를 더하여 각 지표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은 성격 유형
    검사자의 성격 유형이라고 판단합니다.
  • 단, 하나의 지표에서 각 성격 유형 점수가 같으면, 두 성격 유형 중 사전 순으로 빠른 성격 유형
    검사자의 성격 유형이라고 판단합니다.
  • 질문마다 판단하는 지표를 담은 1차원 문자열 배열 survey
    검사자가 각 질문마다 선택한 선택지를 담은 1차원 정수 배열 choic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 이때, 검사자의 성격 유형 검사 결과를 지표 번호 순서대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2. 제한 사항

  • 1 ≤ survey의 길이 ( = n) ≤ 1,000
    • survey의 원소는 "RT", "TR", "FC", "CF", "MJ", "JM", "AN", "NA" 중 하나입니다.
    • survey[i]의 첫 번째 캐릭터는 i+1번 질문의 비동의 관련 선택지를 선택하면 받는 성격 유형을 의미합니다.
    • survey[i]의 두 번째 캐릭터는 i+1번 질문의 동의 관련 선택지를 선택하면 받는 성격 유형을 의미합니다.
  • choices의 길이 = survey의 길이
    • choices[i]는 검사자가 선택한 i+1번째 질문의 선택지를 의미합니다.
    • 1 ≤ choices의 원소 ≤ 7
Choices  뜻
1 매우 비동의
2 비동의
3 약간 비동의
4 모르겠음
5 약간 동의
6 동의
7 매우 동의

3. 입출력 예

Survey Choices Result
["AN", "CF", "MJ", "RT", "NA"] [5, 3, 2, 7, 5] "TCMA"
["TR", "RT", "TR"] [7, 1, 3] "RCJA"

4. 아이디어 얻어보기

4-1.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인 유심히 봐야할 부분

  • 일단 Survey에서의 원소들이 같은 값이라도 동일하게 정렬되어 있지 않아 통일해줘야 했다.
    e.g.) 'TR', 'RT' -> 'RT', 'AN', 'NA' -> 'AN'
  • 유형 점수가 같으면 사전 순으로 빠른 성격 유형을 성격유형으로 판단한다.

4-2.  어떻게 구현해 볼까

  • 각 성격 유형별 점수를 저장한 딕셔너리를 생성
    • 입력 값을 key 값으로 하고, value 값은 각 성격 유형별로 점수를 0으로 초기화한 딕셔너리로 넣었다.
answer = ''
    
## 각 성격 유형별 점수를 저장항 딕셔너리 생성
scores = {
            'RT' : {'R' : 0, 'T' : 0},
            'CF' : {'C' : 0, 'F' : 0},
            'MJ' : {'M' : 0, 'J' : 0},
            'AN' : {'A' : 0, 'N' : 0}
         }
  • 길이가 같은 두 리스트 (survey, choices)를 zip을 이용해 두 리스트에서 원소를 하나씩 꺼낸다.
    • c == 4 즉, 아무것도 모르겠음을 선택한 경우에 continue로 넘김
    • survey의 원소가 scores의 key 값으로 있는 경우에는 그대로, 없는 경우에는 뒤집어준다.
      • e.g.) TR → RT, FC → CF, JM → MJ, NA → AN
    • 점수가 4점 보다 작은 경우 앞에 있는 유형에 점수 부여, 4점 보다 경우에는 뒤에 있는 유형에 점수 부여
    for s, c in zip(survey, choices):
    
        if c == 4: continue
        key   = s if s in scores.keys() else s[::-1]
        
        s     = s[0]  if c < 4 else s[1]
        c     = 4 - c if c < 4 else c - 4
        scores[key][s] += c

⚠️zip() 함수는 길이가 동일한 iterator에서 사용하고, 다른경우에는 itertools의 zip_logest()를 사용한다.

zoo  = ['dove', 'pigeon', 'dove', 'dove', 'penguin', 'hippo', 'tiger', 'dog']
zoo2 = ['apple', 'acorn', 'seed', 'grape', 'banana', 'tomato', 'pear', 'orange']
zoo3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for idx, (z, z2) in enumerate(zip(zoo, zoo2), 1): print(f'[{idx}] {z} | {z2}')
for idx, (z, z3) in enumerate(zip(zoo, zoo3), 1): print(f'[{idx}] {z} | {z3}')

## 출력 결과
[1] dove | apple
[2] pigeon | acorn
[3] dove | seed
[4] dove | grape
[5] penguin | banana
[6] hippo | tomato
[7] tiger | pear
[8] dog | orange

#! 길이가 다른 경우에는 길이가 짧은 리스트를 기준으로 
#! 길이가 긴 리스트의 데이터가 누락된다.
[1] dove | 1
[2] pigeon | 2
[3] dove | 3
[4] dove | 4
[5] penguin | 5
[6] hippo | 6
[7] tiger | 7
[8] dog | 8
#? len(zoo) -> 8, len(zoo3) -> 15
  • itertools의 zip_longest() 함수를 이용하면 길이가 긴 리스트를 기준으로 데이터가 엮인다.
    • 길이가 짧은 리스트는 기본적으로 모자란만큼 None으로 들어가지만, fillvalue 인자값을 통해 지정해 줄 수 있다.
from itertools import zip_longest
for idx, (z, z3) in enumerate(zip_longest(zoo, zoo3), 1): print(f'[{idx}] {z} | {z3}')
for idx, (z, z3) in enumerate(zip_longest(zoo, zoo3, fillvalue = 'lion'), 1): print(f'[{idx}] {z} | {z3}')

## 출력 결과
## 기본적으로는 길이가 짧은 리스트는 모자란 만큼 None이 들어간다.
[1] dove | 1
[2] pigeon | 2
[3] dove | 3
[4] dove | 4
[5] penguin | 5
[6] hippo | 6
[7] tiger | 7
[8] dog | 8
[9] None | 9
[10] None | 10
[11] None | 11
[12] None | 12
[13] None | 13
[14] None | 14
[15] None | 15

#! fillvalue 인자값으로 'lion'을 넣어준 경우
[1] dove | 1
[2] pigeon | 2
[3] dove | 3
[4] dove | 4
[5] penguin | 5
[6] hippo | 6
[7] tiger | 7
[8] dog | 8
[9] lion | 9
[10] lion | 10
[11] lion | 11
[12] lion | 12
[13] lion | 13
[14] lion | 14
[15] lion | 15
  • 각 성격 유형별 value값을 사전 오름차순으로 알파벳을 정렬 후, 둘 중 더 큰 원소값을 가져와 정답 문자열에 더해준다.
    for key, value in scores.items():
        v = dict(sorted(value.items()))
        
        index = list(v.values()).index(max(v.values()))

        answer += sorted(key)[index]
        
    return answer

5. 문제를 풀어봅시다.

def solution(survey, choices):
    
    ## 각 성격 유형별 점수를 저장항 딕셔너리 생성
    scores = {
                'RT' : {'R' : 0, 'T' : 0},
                'CF' : {'C' : 0, 'F' : 0},
                'MJ' : {'M' : 0, 'J' : 0},
                'AN' : {'A' : 0, 'N' : 0}
             }
    
    answer = ''
    for s, c in zip(survey, choices):
        
        ## 선택이 4번 즉, 모르겠음을 선택했을 경우에 
        ## 어떤 유형에도 점수를 주지 않고, 넘김
        if c == 4: continue
        
        ## 성격 유형이 내림차순으로 정렬되어 있는 경우 오름차순으로 정렬
        ## e.g.) 'TR' -> 'RT', 'NA', 'AN', ...
        key   = s if s in scores.keys() else s[::-1]
        
        ## 점수가 4점보다 낮은 경우 앞에 있는 성격 유형에,
        ## 4점보다 높은 경우에 뒤에 있는 성격 유형에 점수 부여
        s     = s[0]  if c < 4 else s[1]
        c     = 4 - c if c < 4 else c - 4
        scores[key][s] += c
    

    for key, value in scores.items():
        ## 성격 유형 정렬 
        v = dict(sorted(value.items()))
        
        ## 점수가 더 높은 원소의 인덱스를 구하는 과정
        index = list(v.values()).index(max(v.values()))
        
        ## 점수가 더 높은 성격 유형을 빈 문자열에 추가
        answer += sorted(key)[index]
        
    return answer
    
sol1 = solution(['AN', 'CF', 'MJ', 'RT', 'NA'], [5,3, 2, 7, 5])
sol2 = solution(['TR', 'RT', 'TR'], [7, 1, 3])

print(f'solution 1 : {sol1}')
print(f'solution 2 : {sol2}')

## 출력 결과
solution 1 : TCMA
solution 2 : RCJA

99. 자료 출처

99-1. 문제 출처

  • 프로그래머스 - 2022 KAKAO TECH INTERNSHIP 성격 유형 검사하기 | [문제 출처]

전체코드

 

GitHub - EvoDmiK/TIL: Today I Learn

Today I Learn. Contribute to EvoDmiK/TIL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내용 추가 이력


부탁 말씀

개인적으로 공부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오류가 있는 부분은 댓글로 정정 부탁드립니다.

 


728x9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