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x250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Archives
- Today
- Total
KimDove
안녕하세요, 딥러닝 엔지니어 김둘기 입니다.
비둘기 둥지
[인공지능 기초 / pytorch] 2. ANN 본문
728x90
1. 인공신경망(ANN)
- 인공 신경망에서 데이터를 입력받는 부분을 입력층 (input layer)라고 한다.
- 입력층을 거친 신호는 은닉층 (hidden layer | 중간층)으로 전달된다.
- 은닉층을 지난 신호는 마지막 뉴런인 출력층(output layer)으로 전달된다.
(!) 각 층에 존재하는 한 단위의 인공뉴런을 노드(node)라 한다.
- 각 층에 존재하는 매개변수인 가중치(weight)를 행렬곱하고 편향(bias)를 더한 결과 값은
활성화 함수(activation function)을 거쳐 다음층으로 신호를 전달한다. - 인공 신경망의 예측결과와 정답을 비교해 오차를 계산.
- 출력층 ~ 입력층까지의 가중치를 모두 최적화 함수(optimization function)을 통해 변경해준다.
- 겹겹이 쌓인 가중치를 뒤에서부터 차례대로 조정하고 최적화하는 알고리즘을
역전파 (backpropagation) 알고리즘이라 한다.
(!) 역전파 알고리즘 참조 | [김성훈 교수님 backpropagation]
1-1. 간단한 분류 모델 구현
- scikit-learn 패키지의 make_blobs() 함수를 이용하여 간단한 분류 모델용 데이터 셋을 생성한다.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
from sklearn.datasets import make_blobs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import torch.nn.functional as F
import numpy as np
import torch
(a) 데이터 생성하는 코드
- (x, y) 순서쌍으로 이루어진 100개의 데이터 셋 생성
- 각 클러스터 별 중심점이 (1, 1), (-1, -1), (1, -1), (-1, 1)이고 표준편차 0.3으로 분포됨.
- 학습용 : 시험용 = 8: 2로 분할함
n_dims = 2
## scikit-learn의 make_blobs() 함수를 이용해 2차원의 클러스터 데이터 셋이 존재함.
## Y는 0, 1, 2, 3의 4개의 클래스로 구성됨.
X, Y = make_blobs(
n_samples = 100, n_features = n_dims,
centers = [[1, 1], [-1, -1], [1, -1], [-1, 1]],
shuffle = True, cluster_std = 0.3
)
## 0, 1이라는 라벨을 가진 경우에는 0으로
## 2, 3이라는 라벨을 가진 경우에는 1로 인코딩
def label_map(y_, from_, to_):
y = np.copy(y_)
for f in from_:
y[y_ == f] = to_
return y
Y = label_map(Y, [0, 1], 0)
Y = label_map(Y, [2, 3], 1)
## 학습용, 시험용 데이터 셋을 8 : 2로 분할해주는 함수
## stratify 옵션을 적용하여 라벨의 비율에 따라 균등하게 분배됨
train_x, test_x, train_y, test_y = train_test_split(X, Y, test_size = 0.2, stratify = Y,
random_state = 42, shuffle = True)
(b) 데이터 분포 시각화 해주는 코드
- 라벨이 0인 경우 점으로 표시
- 라벨이 1인 경우 십자가로 표시
def vis_data(x, y = None, c = 'r'):
if y is None: y = [None] * len(x)
for x_, y_ in zip(x, y):
if y_ is None: plt.plot(x_[0], x_[1], '*', markerfacecolor = 'none', markeredgecolor = c)
else: plt.plot(x_[0], x_[1], c+'o' if y_ == 0 else c+'+')
plt.figure()
vis_data(train_x, train_y, c='r')
plt.show()
## numpy 형태의 데이터를 텐서로 변환
train_x = torch.FloatTensor(train_x)
train_y = torch.FloatTensor(train_y)
test_x = torch.FloatTensor(test_x)
test_y = torch.FloatTensor(test_y)
(c) 신경망 구성하는 코드
class NN(torch.nn.Module):
def __init__(self, input_size, hidden_size):
## NN 클래스는 파이토치의 nn.Module 클래스의 속성들을 가지고 초기화
super(NN, self).__init__()
self.input_size = input_size
self.hidden_size = hidden_size
## torch.nn.Linear()는 행렬곱과 편향을 포함하는 연산을 지원하는 객체를 반환
self.linear1 = torch.nn.Linear(self.input_size, self.hidden_size)
self.relu = torch.nn.ReLU()
self.linear2 = torch.nn.Linear(self.hidden_size, 1)
self.sigmoid = torch.nn.Sigmoid()
## init() 함수에서 정의한 동작들을 차례대로 실행하는 함수
def forward(self, input_tensor):
linear1 = self.linear1(input_tensor)
relu = self.relu(linear1)
linear2 = self.linear2(relu)
output = self.sigmoid(linear2)
return output
- 모델 학습 적용하는 부분
## 클래스를 호출할 때 torch.nn.Module에서 forward함수를
## 호출하므로, 따로 forward 함수를 호출할 필요는 없음.
model = NN(2, 3)
lr = 3*1e-2
epochs = 20000
## 로스 함수로는 Binary Cross Entropy 함수 사용
criterion = torch.nn.BCELoss()
## 최적화 함수로는 SGD(Stochastic Gradient Descent)사용.
## 최적화 함수는 step() 함수가 호출될 때마다 가중치를 학습률만큼 갱신
optimizer = torch.optim.SGD(model.parameters(), lr = lr)
## 학습시키기 전 모델 성능평가
model.eval()
before_test_loss = criterion(model(test_x).squeeze(), test_y)
print(f'Before training test Loss :{before_test_loss.item()}')
## 출력 결과
Before training test Loss :0.7008140087127686
(d) 모델 학습하는 코드
for epoch in range(epochs):
## 모델을 학습 모드로 변경해줌
## 에폭마다 새로운 경사값을 계산하므로 zero_grad() 함수를 호출,
## 경사값을 0으로 설정
model.train()
optimizer.zero_grad()
train_output = model(train_x)
train_loss = criterion(train_output.squeeze(), train_y)
if epoch % 500 == 0:
print(f'[{epoch} / {epochs}] train loss : {train_loss:.2f}')
## 역전파 계산해주는 부분
train_loss.backward()
optimizer.step()
## 출력 결과
[0 / 20000] train loss : 0.72
[500 / 20000] train loss : 0.33
[1000 / 20000] train loss : 0.15
[1500 / 20000] train loss : 0.10
[2000 / 20000] train loss : 0.07
[2500 / 20000] train loss : 0.06
[3000 / 20000] train loss : 0.05
[3500 / 20000] train loss : 0.04
( ... 중략 ...)
[15000 / 20000] train loss : 0.01
[15500 / 20000] train loss : 0.01
[16000 / 20000] train loss : 0.01
[16500 / 20000] train loss : 0.01
[17000 / 20000] train loss : 0.01
[17500 / 20000] train loss : 0.01
[18000 / 20000] train loss : 0.01
[18500 / 20000] train loss : 0.01
[19000 / 20000] train loss : 0.01
[19500 / 20000] train loss : 0.01
## 학습 후 모델 성능 평가
model.eval()
after_test_loss = criterion(torch.squeeze(model(test_x)), test_y)
print(f'after training test Loss : {after_test_loss}')
## 출력 결과
after training test Loss : 0.0031160390935838223
(e) 학습시킨 모델 저장하는 부분
- 학습된 모델을 state_dict() 함수 형태로 변셩하여 pt파일로 저장
state_dict() 함수는 모델 내 가중치들이 딕셔너리 형태로 표현된 데이터이다.
torch.save(model.state_dict(), './model.pt')
print(f'state dict format of the model : \n{model.state_dict()}')
## 출력 결과
state dict format of the model :
OrderedDict([('linear1.weight', tensor([[ 2.8389, 2.9249],
[-3.1837, -2.7102],
[ 0.4108, 0.1128]])), ('linear1.bias', tensor([-1.4428, -1.8443, -0.8169])), ('linear2.weight', tensor([[-4.2566, -4.5343, 0.4090]])), ('linear2.bias', tensor([5.6307]))])
(f) 저장된 모델 불러와서 사용하기
- 새로운 모델 객체 new_model을 생성하여 앞서 학습시킨 모델을 불러옴.
new_model = NN(2, 3)
new_model.load_state_dict(torch.load('./model.pt'))
new_model.eval()
score = new_model(torch.FloatTensor([-1, 1])).item()
print(f'벡터 [-1, 1]이 레이블 1을 가질 확률은 {score}')
## 출력 결과
벡터 [-1, 1]이 레이블 1을 가질 확률은 0.9964268803596497
99. 참고자료
99-1. 도서
- 한빛 미디어 | 펭귄브로의 3분 딥러닝 - 파이토치 맛
99-2. 웹사이트
99-3. 데이터 셋
전체코드
내용 추가 이력
부탁 말씀
개인적으로 공부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오류가 있는 부분은 댓글로 정정 부탁드립니다.
728x90
'인공지능 공부 > Pyto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지능 기초 / pytorch] 5. 그래프와 pytorch_geometric (0) | 2022.11.24 |
---|---|
[인공지능 기초 / pytorch] 4. CNN (0) | 2022.07.20 |
[인공지능 기초 / pytorch] 3. DNN (0) | 2022.06.23 |
[인공지능 기초 / pytorch] 1. 파이토치 기초 (1) | 2022.06.18 |
Comments